워드프레스 REST API를 활용해 자동으로 글을 올리는 워크플로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궁금해하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REST API로 올린 글은 블록 에디터에서 어떻게 보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REST API를 통해 글을 업로드하면 워드프레스에서는 블록 에디터(Gutenberg)에서 “단일 HTML 블록” 형태로 표시됩니다.
즉, 우리가 기대하는 것처럼 자동으로 단락, 제목, 이미지 등이 블록 단위로 나눠지지 않고, 전체가 하나의 HTML 블록으로 들어갑니다.
왜 그런가?
REST API의 글 등록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title": "글 제목",
"content": "HTML 또는 텍스트",
"status": "publish"
}
이때 content
필드에는 단순한 HTML이 들어가고, WordPress는 이를 블록 단위로 나누는 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블록 에디터(Gutenberg) 상에서는 “커스텀 HTML 블록” 하나로만 표시됩니다.
블록 단위로 보이게 할 수는 없을까?
가능합니다. 워드프레스는 내부적으로 Gutenberg 블록을 다음과 같은 마크업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wp:paragraph -->
<p>이건 단락입니다.</p>
<!-- /wp:paragraph -->
<!-- wp:image {"id":42,"sizeSlug":"large"} /-->
따라서 GPT나 외부 서버가 위 형식으로 콘텐츠를 생성해 API로 보내면, 블록 에디터에서 각각의 요소가 블록으로 인식됩니다.
실무에서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 간단한 자동화: REST API로 HTML 입력 후, 관리자 수동 블록 전환
- 정교한 자동화: GPT 또는 백엔드에서 Gutenberg 블록 마크업 생성
정리
- REST API로 글을 업로드하면 블록 단위로 자동 분할되지 않는다.
- 블록으로 보이게 하려면 Gutenberg 블록 마크업 형식으로 직접 작성해야 한다.
- GPT를 활용해 이 마크업을 자동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워드프레스 자동화를 고민하고 있다면, REST API의 콘텐츠 구조와 Gutenberg의 저장 방식의 차이를 꼭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